per.kr 불교의 사상(연기설, 번뇌, 108번뇌, 유식사상) > per3 | per.kr report

불교의 사상(연기설, 번뇌, 108번뇌, 유식사상) > per3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per3

불교의 사상(연기설, 번뇌, 108번뇌, 유식사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3 03:12

본문




Download : 불교의 사상(연기설, 번뇌, 108번뇌, 유식사상).hwp




명색은 6식의 대상으로서의 색(色) ·성(聲) ·향(香) ·미(味) ·촉(觸) ·법(法)의 6경(六境)이다.
④ ‘명색’과 ⑤ ‘육처’는 앞의 ‘식’과 밀접한 상호의존 관계에 있따 ‘식’은 식체 즉, 인식판단의 주체이며, ‘명색’은 이 ‘식’의 대상으로서 인식된 물질(色)과 정신(名)이다. 우리의 고뇌와 불행이 일어나는 근본요인은 올바른 세계관 ·人生(life)관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③ ‘식’은 인식판단의 의식작용임과 동시에 인식판단의 주체이다.
⑦ ‘수’는 근 ·경 ·식의 3자가 화합하여 생긴 고락(苦樂) 등의 감수작용(感受作用)이다. 사고행위(意行), 언어행위(語行), 신체적 행위(身行) 등의 모든 행위는 그 행위 후에 사라져버리는 것이 아니라, 우리 속에 축적 ·보존되어 인격의 내용이 된다 행은 무지로부터 일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윤회(輪廻)의 요인으로서의 업(業)을 가리킨다. 불교사상의이해 , 불교의 사상(연기설, 번뇌, 108번뇌, 유식사상)인문사회레포트 ,


1. 연기설

① ‘무명’은 미혹의 근본으로서의 무지로, 사제(四諦)와 연기 등의 올바른 세계관 ·人生(life)관을 모르는 것을 말한다. 감각작용으로서의 안식(眼識) ·이식(耳識) ·비식(鼻識) ·설식(舌識) ·신식(身識)의 5식과 의식(意識)을 가리키는데, 의식은 6식을 주체적으로 보는 것으로, 식체(識體)라고도 한다.




불교의 사상(연기설, 번뇌, 108번뇌, 유식사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⑥ 일반적으로 ‘촉’은 근 ·경 ·식의 셋이 접촉하는 것이다.
다. 이와 같은 ‘식’,‘명색’,‘육처’의 관계를 도식하면 위와 같다. 즉 3자의 화합이 ‘촉’이다.
② ‘행’은 형성력으로서의 행위, 행위의 집적(集積)이다. 이 6 경을 인식판단하기 위한 능력이 있는 기관이 ‘육처’인데, 이것은 안근(시각기관 또는 그 능력) ·이근(청각기관) ·비근(후각기관) ·설근(미각기관) ·신근(촉각기관) ·의근(사유기관)을 말한다. 이 3수와 5수와의 관계…(省略)
불교사상의이해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불교의 사상(연기설, 번뇌, 108번뇌, 유식사상).hwp( 38 )


불교의 사상(연기설, 번뇌, 108번뇌, 유식사상)




순서
불교의%20사상(연기설,%20번뇌,%20108번뇌,%20유식사상)_hwp_01.gif 불교의%20사상(연기설,%20번뇌,%20108번뇌,%20유식사상)_hwp_02.gif 불교의%20사상(연기설,%20번뇌,%20108번뇌,%20유식사상)_hwp_03.gif 불교의%20사상(연기설,%20번뇌,%20108번뇌,%20유식사상)_hwp_04.gif 불교의%20사상(연기설,%20번뇌,%20108번뇌,%20유식사상)_hwp_05.gif 불교의%20사상(연기설,%20번뇌,%20108번뇌,%20유식사상)_hwp_06.gif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불교의 사상(연기설, 번뇌, 108번뇌, 유식사상)에 대한 자료(data)입니다. ‘수’에는 고수(苦受) ·낙수(樂受) ·불고불락수의 3수가 있는데, 이것을 다시 육체적 ·정신적인 두 방면으로 나누어 우(憂) ·희(喜) ·고(苦) ·락(樂) ·사(捨)의 5수로 나누기도 한다.
전체 9,571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per.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